엘리시움(Elysium), 불평등의 궤도 위에 선 자들
디스토피아의 두 세계《엘리시움 (Elysium, 2013)》은 고전적인 디스토피아 설정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공간의 이중 구조를 통해 현대 자본주의의 계급 불평등을 극단적으로 시각화한 정치적 우화다. 영화 속 ‘엘리시움’은 지구 궤도에 떠 있는 인공위성 도시이며, 모든 자원과 기술, 의료 서비스가 집중된 완전무결한 공간이다. 반면 지구는 오염과 과잉인구, 빈곤과 폭력에 찌든 버려진 땅으로 묘사된다. 이 극단적 대비는 단순한 빈부의 시각적 표현이 아닌, 사회적 권력 구조가 어떻게 공간 그 자체를 계급화하는지에 대한 메타포이다. 엘리시움의 시각적 연출은 전형적인 이상향의 코드를 따른다. 넓은 녹지, 청명한 하늘, 하이엔드 건축과 기술, 완벽한 의료 체계까지 모든 것이 인간의 이상적 삶을 구현한 것처럼 보인다..
2025. 5. 20.
영화 패신저스, 선택과 고독의 우주 윤리
고독한 각성, 비극의 출발점《패신저스 (Passengers, 2016)》의 서사는 우주선이라는 밀폐된 공간, 인간이라는 존재의 감정적 결핍, 그리고 그 결핍에서 비롯된 윤리적 붕괴를 동시에 다루는 이야기다. 주인공 짐 프레스턴(크리스 프랫)은 하이퍼수면 중 예상치 못한 오류로 인해, 다른 승객들보다 90년이나 일찍 혼자 깨어난다. 이 설정은 단순한 생존 서사나 사랑 이야기의 전제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현대인이 경험하는 실존적 고립을 극단적으로 구체화한 심리적 실험이다. 짐은 물리적으로는 살아 있으나, 사회적 관계망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정체성의 기반을 잃어가며, 그의 존재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고립의 체감은 서서히 짐의 신체적 행동으로 변주된다. 처음에는 루틴한 일상 유지, 대화 상..
2025. 5. 20.